아무래도 유튜브 PPL을 집행하면 가장 신경쓰는 부분은 바로 “얼마나 효율적인가?” 이실텐데요.
그래서 브랜드 입장에서 중요한 건 같은 비용으로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도달했는가를 보여주는 CPV(Cost Per View, 조회당 비용)가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지난 1년 동안 유광기의 데이터를 보면 산업군별·토픽별·채널별로 CPV 효율이 크게 다르게 나타나는 걸 알 수 있는데요.
즉, “어떤 크리에이터에게 광고를 맡기느냐”만큼이나 “어떤 카테고리와 포맷에서 진행하느냐”가 첫 번째로 광고 성과를 가르는 핵심이 될 수 있습니다.
브랜드가 효율적으로 예산을 쓰려면 어디에 집중해야 하는지, 지금 바로 함께 확인해보세요!
같은 예산을 쓰더라도 산업군별로 CPV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점이 이번 분석에서 확인됐습니다. 실제로는 산업군에 따라 최대 2배 가까이 차이가 벌어질 수 있었죠.
예를 들어, 레저·스포츠, 패션 &의류,피트니스·다이어트 용품 판매 브랜드는 CPV가 평소 매우 효율적입니다. 이 말은 곧, 같은 비용을 쓰더라도 더 많은 시청자에게 도달할 수 있다는 뜻이죠.
특히 피트니스·다이어트 판매 브랜드는 구독자 증가율은 더딘 편이지만, 운동·건강에 관심 있는 타깃층에게 집중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어 비용 효율적인 카테고리로 볼 수 있습니다.
브랜드의 산업군은 바꿀 수 없는 조건이죠. 뷰티 브랜드가 갑자기 IT 회사가 될 수는 없으니까요.
하지만 광고 전략을 짤 때 우리가 손댈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어떤 콘텐츠 토픽과 영상 유형을 선택하느냐입니다. 이 선택 하나가 CPV 효율을 크게 바꾸게 되죠.
일상·라이프스타일, 여행&캠핑, 레저&스포츠 같은 주제는 CPV가 낮습니다.
왜일까요? 이 토픽들은 상대적으로 조회수가 꾸준하게 나오는 토픽이고 특정 타겟 보다는 다양한 타겟층에 소비되는 성격이 강해서 많은 사람들이 쉽게 보고 넘어가죠. 그만큼 같은 예산으로 더 많은 조회수를 끌어올 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지는 겁니다.
반면, 뷰티·메이크업, 패션·의류, 의료·건강은 CPV가 높습니다. 이미 광고주 경쟁이 치열한 시장이기도 하고 동시에 시청자 입장에서는 전문성과 신뢰를 요구하거나 유행에 민감한 콘텐츠라 CPV가 안 좋을 가능성이 높죠.
많은 사람들이 흔히 “광고비를 많이 쓰면 성과가 난다” 혹은 “CPV가 낮으면 무조건 효율적이다”라고 생각하죠. 하지만 이번 데이터를 보면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광고의 효율은 단순히 싸다/비싸다로 나눌 수 있는 게 아니라, 브랜드가 지금 어떤 목표를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완전히 달라집니다.
결국 마케터가 광고를 집행하기 전에 먼저 정해야 하는 건 “예산을 어떻게 쓸까?”가 아니라 “이번 캠페인의 진짜 목적은 무엇인가?”입니다. 목적이 달라지면, 당연히 선택해야 할 채널과 토픽도 달라지기 마련이니까요.
결국 브랜드가 무엇을 우선순위로 삼느냐에 따라 완전히 다른 전략이 나와야 한다는 것이죠.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유광기입니다.
유광기를 통해 데이터로 효율을 읽고 전략적으로 크리에이터를 선택해보세요!
다른 아티클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
님, 오늘 레터 잘 읽어보셨나요?
오늘 유광기가 전한 인사이트가 님의 브랜드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유광기는 계속해서 님의 업무 효율화와 브랜드 성장을 위해 서비스를 개선하고 인사이트를 계속 전해드릴 예정이니 앞으로도 많은 관심 바랍니다.
그럼 저희는 다음 레터로 돌아오겠습니다!
트렌디한 콘텐츠부터 크리에이터까지,기획부터 실행까지 종합 광고 데이터베이스
매주 유튜브 트렌드와 마케팅 인사이트를 보내드려요